[코드스테이츠 GMB 10기] week1(금)_과제
설문조사 부탁드려요! 2분이면 됩니다!
https://forms.gle/fTK5iqhbLoYWwij48
펫프렌즈 앱 개선을 위한 정성조사
안녕하세요! GMB 10기 수강생입니다. 본 설문은 반려동물 용품 쇼핑몰 [펫프렌즈]에 대한 인식 파악과 서비스 개선을 위한 목적에 있습니다. 참여대상 : - 반려인(강아지, 고양이 위주)이라면 누구
docs.google.com
Part 1.
펫프렌즈의 value와 cost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자.

펫프렌즈의 value | 펫프렌즈의 cost |
- 반려동물 사료, 간식, 용품 구매 가능 - 서울 내 당일배송 서비스로 빠르게 제품을 받을 수 있는 편리함 - 반려동물관리사 1급 자격증을 소지한 상담사와 24시간 상담으로 신뢰도 상승 - 펫프렌즈 스토어 입점의 진입장벽이 높은만큼 신뢰성과 퀄리티를 모두 잡고 있음 - 구매자가 직접 유해성분 확인 등의 정보 찾는 시간 절약 가능 - 펫프렌즈 pb상품, 단독 해외상품 구매 가능 |
- 반려동물 사료, 간식, 용품 구매 비용(+모든 상품이 최저가는 아님) - 앱 사용 시간(상품이 분류 되어있어도 매우 다양하기 때문에 찾고 고민하고 구매까지 하는 시간이 꽤 걸림) - 앱 설치의 번거로움 - 2만원 미만 구매시 추가 배송비(2,500원) - '나와 내 반려동물의 정보 입력'은 AI 맞춤 서비스로는 편리하지만, 우리 정보 또한 결국 다른 비슷한 정보의 구매자에게 맞춤 추천으로 사용됨 - 모바일화면으로만 최적화 되어있음 (pc화면도 모바일웹 사이즈) |
Part 2.
'그로스 마케팅' 개념 정리/기록
◆ 내가 정리한 그로스 마케팅은
: 기업의 빠른 성장을 위해
분석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제품/서비스의 문제]를 찾고
이를 개선시키기 위한 [반복적인 실험]을 통해
[인사이트를 찾아내는] 마케팅 기술이다.
지난 세션을 통해 그로스 마케터의 환상이 와장창 깨졌지만,
아래의 생각들의 중요성을 깨달았다 :
"그로스 마인드 셋을 갖춘 마케터가 되어야지"
"그로스는 작고 빠르고, 끊임없는 시도로 만들어진다"
◆ 그로스 해킹/마케팅은 총 4단계로 진행된다 :
1단계) 고객 분석
이 단계에서는 고객 분석을 통해 제품을 개선시키기 위해
과연 이 제품이 그럴만한 가치가 있는지 확인한다.
2단계) 아이디어 도출
분석을 통해 집중해야할 부분을 찾은 후, '어떤 실험을 해야할지' 아이디어를 내는 단계.
[아이디어 서식 → 아이디어 이름, 설명, 가설, 측정해야할 지표]
3단계) 우선순위 결정
여러가지 아이디어가 도출 되었을 때 어떤 아이디어를 실험해볼지 결정하는 단계.
[Impact Confidence Ease(ICE) 점수 산정 시스템 = 각 아이디어를 1~10의 척도로 평가]
4단계) 실험
어떤 실험을 할 지 정했다면 실험 시작.
실험 완료 후, "회고" = 다음 실험에 반영하기 위한 인사이트를 도출하는 단계
- 긍정적인 핵심요소 (실험에 의해 개선된 지표)
- 부정적인 핵심요소 (성장 저해 원인 파악)
- 성장 집중 분야 (지향점으로 삼아야하는 단기적 목표)
그 후 4단계에서 얻은 피드백을 다시 1단계에 반영하여 빠른 성장을 도모한다.
즉, 지속적인 개선과 빠른 반복 시행 사이클을 통해,
제품 개발뿐만 아니라 고객 기반 및 매출 확대에 적용한 마케팅 방법론이다.
예를 들어, 인스타그램은 원래 많은 기능을 탑재한 위치 기반 SNS였다. 그러다 그로스해킹을 통해 고객이 자주 사용하는 기능을 찾아서 지금의 사진 공유 앱으로 재탄생 했다고 한다.
Part 3.
그로스 마케팅 개념 정리/기록 :
⁕ OKR (Objective(목표) + Key Results(핵심지표))
: 최종 목표 달성을 위해 관리해야하는 결과지표 (결과가 목표값에 일치했을 때 최종목표가 달성되었다고 판단)
ㄴObjective = 동기를 부여해주는 이상적인 정성적 목표
ㄴKey Result = 목표를 달성했다고 판단할 수 있는 정량적 결과
⁕ KPI (Key Performance Indicator) 핵심성과지표
: 특정 목표 달성을 위해 핵심적으로 관리할 요소들의 성과 지표
ㄴKPI 지표가 되기 위한 요건 :
1) 성과측정 가능성
2) 업무 대표성
3) 관리 가능성
4) 지표 간 균형성
5) 상하 간 연계성
⁕ Funnel
: 소비자가 우리 제품을 인지하고 구매하기까지의 과정을 깔대기에 빗댄 개념
ㄴ잠재고객을 찾아서 판매 절차로 끌어들인 다음 구매로 전환시키는 흐름
⁕ AARRR 퍼널 분석 (기업의 비즈니스, 비즈니스 성격, 제품에 따라 퍼널이 다름)
: 한 명의 고객이 유입되어 최종 구매~추천까지의 전체과정을 위한 전략
ㄴ과정 = 5 단계로 구분

1) Acquisition(획득) : 광고/프로모션 등으로 고객 유입
• 측정지표 = CAC, 신규 방문자 수, 신규 방문 유입경로
2) Activation(활동) : 고객의 서비스 이용 활발해짐
• 측정지표 = DT, 회원가입률, 트래픽 등
3) Retention(재방문) : 고객이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이용하도록 함
• 측정지표 = 이탈률, 이탈 페이지
4) Revenue(수익) : 고객이 구매 전환하여 수익이 발생함
• 측정지표 = 구매 전환율, 매출, 주문 별 객단가
5) Referral(소개) : 고객이 주변 사람들에게 제품/서비스를 추천함
• 측정지표 = 공유 수, 댓글 수
⁕ Lean (린: 군살 없는, 낭비 없는
: 처음부터 모든 것을 갖춘 것이 아니라, 최소한의 요건만을 갖춘 제품을 만든 뒤에 점차 개선해 나가는 방식.
ㄴ낭비를 최소화 하여 제품/서비스를 빠르게 검증하는 것이 목표
[Build - Measure - Learn]을 반복적으로(iteration) 실행하면서 제품이 시장에 적합한지에 대한 가설검증과 함께 빠르게 학습(learn) 할 수 있는 모델
• 핵심 전략 :
→ 아이디어에 집중하지 말 것
→ 핵심은 학습이다 (개선점을 빨리 찾아 무엇을 제거하느냐가 중요하다)
→ 고객이 원하는 것에 집중할 것
→ 실패를 받아들이고 학습하여 개선하자

⁕ Agile (애자일: 긴민한, 날렵한)
: 신속한 반복 작업을 통해 실제 작동 가능한 소프트웨어를 개발하여 지속적으로 고객에게 제공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개발 방식
: 계획 중심의 개발방법론을 경량화 시킨 모델로, 개발 과정의 요구사항 변경에 유연하고, 민첩하게 대응하며, 불완전한 사용자와 개발자 사이의 의사소통의 애로사항을 해결하고자 개발된 방법론.
: 기존모델(워터풀)을 거부하는 것이 아니라 이를 적극적으로 수용하되, 각각의 개발 단계를 짧게 분해하여 의사소통을 향상시키는 방식

(출처: lactea94.log)
⁕ Scrum / Sprint (스크럼 / 스프린트)
: 5~9명으로 구성되는 소규모의 다기능 팀이 제품 개발을 완성하기 위해 스프린트(sprint) 업무 주기를 반복함
ㄴPO(제품 책임자)가 관리하는 "해야할 일들의 목록(product backlog)"에서 "스프린트 동안 해야하는 일들(sprint backlog")을 스스로 결정하고 완수하여 매 스프린트 마다 결과물을 산출해 냄

⁕ Kanban (칸반)
: 단게별 작업 현황을 열(column) 보드 형태로 시각화하는 프로젝트 관리 방법

⁕ MVP(Minimum Viable Product) 최소기능제품
: 최소한의 노력과 개발 공수로 완성할 수 있는 제품 (에릭 리스)
ㄴ최소한의 리소스로 고객의 피드백을 얻고, 이를 쉽게 제품 개발에 반영할 수 있도록 설계된 제품/서비스

⁕ PMF(Product-Market Fit) 제품-시장 적합도
: 매출이 급상승하는 구간
ㄴ중요한 고객 가치를 창출하는 제품을 구축했다는 뜻
즉, 실제 고객의 요구를 충족하고 대안보다 더 나은 방식으로 충족함
